비점오염저감시설 정보관리시스템

로그인

의사결정지원시스템

주메뉴

  • 비점오염원
  • LID(저영향개발)
  • 설치 및 운영현황
  • 비점저감시설정보
  • 시설소개 및 등록
  • 자료창고

LID(저영향개발)

  • 정의
  • 기술요소
  • 적용효과
  • 처리효율
  • 적용사례
  • 관련제도

적용사례

국내 LID기술 적용사례

지역명 계획내용
경기도 광주시 장지동
  • 3번국도로 강우시 초기우수가 경안천으로 유입됨
  • 배수구역이 도로 제한되어 비점오염 물질 차집 및 처리용이
경기도 광주시 주자리
  • 43번 국도변으로 강우시 초기우수가 경안천으로 유입됨
  • 도로에서 발생되는 초기우수를 장치형(스크린형) 시설로 유입 및 처리후 경안천 방류
경기도 광주시 광남동
  • 아파트 단지내 주차장 비점오염물질이 중대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강우시 오염부하가 높음
경기도 광주시 상변천리
  • 중부고속도로 및 45번국도로 강우시 초기우수가 경안천으로 유입됨
  • 도로의 비점오염물질이 경안천으로 유입됨
전남 나주시 운곡동 174-30번지
  • 농공단지에서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할 경우 처리시설의 설치효과가 높을 것으로 기대됨
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표곡읍 삼계리
  • 배수구역이 도로로 제한되어 차집 및 처리용이
  • 초기유출시간 60분 동안의 초기유출량 40㎥(체류시간 1.3시간) 처리
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도지리
  • 도시 35%, 농경지 및 임야 65% 구성
  • 강우시 농경 및 산림배수 유입(용존성과 입자성 물질 혼재)

국외 LID기술 적용사례

지역명 계획내용
영국 Lamb Drove SUDS(Sustainable Urban Drainage System) 주거지
  • “관리기차(management train)”이라는 기법을 사용하여 배수 기법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수질을 향상시키고 오염원과 유량을 저감시킴으로써 유출량의 수량을 점진적으로 제어
  • 개발 전 배수지의 자연적 형태를 가능한 최대로 유지하고 혼합적인 체계 안에서 유출량을 “source”에 가깝게 관리하고자 기술 계층 기법을 사용
미국 Santa Monica, Californian
  • Urban Runoff BMPs for MUNI Municipal Facilities
  • Sanra Monica 시는 건기/우기 시 지자체 지역에서 발생하는 유출량을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실행
  • 주차장과 거리 등에 투수성 포장을 설치하였으며 여러 주거지 도로에 역시 투수성 포장을 사용
  • 다공성 콘크리트, 생물 인공습지(bioswales)등을 통한 추가적인 강우유출수 관리 시도
미국 Seattle, Washington
  • 사설 강우유출수저감 시설 유지와 검사
  • Seattle 시에서는 모든 사설 강우유출수 저감시설에 관해 검사를 실시
  • 시설검사에는 침식 정도와 구성요소 중 빠진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와 배수 문제 점검이 포함되며 2주 정도 소요
영국 Clayalnds Pond Edinburgh
  • 이 연못은 20여 년 동안 존재했으며 처음에는 작은 연못에 농장으로의 관개를 위한 연못이었으나,
  • 1994년 M9 고속도로의 확장 공사를 통해 배수 시스템의 일부로 사용되기 시작
  • 근처 하천으로부터 유량이 지속적으로 유입
  • 배수 시스템으로 전향된 이후 효과
  • 첨투 유량이 평균 43%감소, 중금속 농도의 감소
영국 Natlonal Alr Transport Services, Edinburgh
  • NATS에 위치한 Fompave 주차장은 기준 주차장을 확장, 건설할 것으로, 투수성이 낮은 재질로 포장
  • 강우시 60%의 유출을 저감
  • 수질의 경우 과거 보다 전반적으로 좋은 수질을 유지
  • TSS의 경우 53.2%의 저감효과
영국 Lang Straght Aberdeen
  • Aberdeen의 A944를 따라 filter-drain 시스템이 설치
  • 전반적으로 강우강도가 낮은(12mm/h 이하) 강우 사상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유지, 관리가 중요
  • 수질 TSS가 평균 74.3% 감소 되었으며,
  • Inflow의 경우 TSS 농도가 1,174mg/L인 반면 outflow에서는 235mg/L로 현저히 감소

출처 : 환경부 비점오염 (http://nonpoint.me.go.kr/main.do)

비점오염저감시설 정보관리시스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