비점오염저감시설 정보관리시스템

로그인

의사결정지원시스템

주메뉴

  • 비점오염원
  • LID(저영향개발)
  • 설치 및 운영현황
  • 비점저감시설정보
  • 시설소개 및 등록
  • 자료창고

LID(저영향개발)

  • 정의
  • 기술요소
  • 적용효과
  • 처리효율
  • 적용사례
  • 관련제도

기술요소

저영향개발 기술요소

저영향개발 기술요소는 자연 상태와 유사한 수문특성이 구현될 수 있도록 저류, 침투, 여과, 증발산 등의 기능을 통해 강우유출량을 관리하는 시설 및 설계방법을 말함

  • 저영향개발은 토지이용계획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할 종합적 토지계획과 저류, 침투, 여과, 증발산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개별 기술요소로 구분할 수 있다. 본 가이드라인에서는 저영향개발의 개별 기술요소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.
  • 대표적인 저영향개발 기술요소에는 식생체류지, 옥상녹화, 나무여과상자, 식물재배화분, 식생수로, 식생여과대, 침투도랑, 침투통, 투수성 포장, 모래여과장치, 빗물통이 있다. 기술요소는 각각의 대표적인 기능을 중심으로 명명되었으나, 실제 적용 시에는 각 기술요소들이 한가지의 기능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으로 기능하게 된다. 예를 들어 식생체류지의 경우 식생의 여과기능, 체류기능, 침투기능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며 복합적 기능 확보를 통해 효과적인 강우유출수 관리가 가능하다.
  • 저영향개발 기술요소는 설치 위치에 따라 현장형(in-situ, 강우시 유출을 현장에서 직접 저감하는 방법)과 차집형 (out-situ, 유출된 초기우수를 특정 공간에 모아 저감시키는 방법)이 있다. 현장형(in-situ) 기술요소의 대표적인 형태는 투수성포장, 옥상녹화 등이며, 식생체류지, 식생수로, 침투저류지, 나무여과상자 등이 차집형(out-situ) 기술요소의 대표적 형태이다. 각 기술요소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3장 저영향개발 기술요소별 설치 및 유지관리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.
  • 기술요소의 주요 효과로 강우유출량 및 오염물질 유출량 저감을 기대할 수 있다. 3장에서 각 시설별 저감효율을 제시하였으며 실제 유역에 적용할 경우 기대할 수 있는 저감효율에 대하여 수치모델(EPA SWMM)을 이용하여 모의하였다. 적용면적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저감효과가 증가되며, 국외의 문헌자료와 같이 5mm 이하의 초기우수에서 저감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.

<강우사상에 따른 저감효율>

출처 : 환경부 비점오염 (http://nonpoint.me.go.kr/main.do)

비점오염저감시설 정보관리시스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