비점오염저감시설 정보관리시스템

로그인

의사결정지원시스템

주메뉴

  • 비점오염원
  • LID(저영향개발)
  • 설치 및 운영현황
  • 비점저감시설정보
  • 시설소개 및 등록
  • 자료창고

비점오염원

  • 정의
  • 종류
  • 영향
  • 저감방안
  • 관리정책방향

영향

비점오염의 영향

  • 도시화,산업화의 진전으로 토지개발이 가속화되고 대지/도로/주차장 등 불투수층 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비점오염원에 의한 하천,호소의 수질영향도 커짐

    - 비점오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토지계 오염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권역별로 30~35%를 차지(‘03년 기준, 물환경관리기본계획)

    비점오염부하량 산정시 토지계이외에 하수관거누수, 미처리 가축분뇨의 영향 등을 포함할 경우 그 비중은 권역별로 ‘03년 현재 42~69%에 달하며, 2015년에는 65~70%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(물환경관리기본계획)

    <표> 권역별 오염원별 수질오염부하량(2003년)
    구분 금강 낙동강 영산강 한강
    생활계(㎏/d) 58,044 80,905 43,685 135,433
    37% 41% 34% 50%
    축산계(㎏/d) 30,203 28,723 19,812 33,309
    19% 14% 16% 12%
    산업계(㎏/d) 11,988 18,294 5,042 17,561
    8% 9% 4% 6%
    토지계(㎏/d) 49,967 67,799 44,346 81,044
    32% 34% 35% 30%
    기타(㎏/d) 6,614 3,970 13,790 5,430
    4% 2% 11% 2%
    합계(㎏/d) 156,816 199,690 126,676 272,766
    100% 100% 100% 100%
    미국의 경우, 총부유물질(TSS) 기준으로 수질오염부하의 50%, 폐쇄성 수역에서 검출되는 영양물질의 80% 이상이 비점오염원에서 기인함
  • 비점오염원에서 강우와 더불어 유출되는 토사 등 부유물질, 질소/인 등 영양염류, 고농도의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은 수집,처리가 어려워 특별한 처리 없이 바로 하천으로 유입됨으로써 수질을 오염시키고, 이에 따라 물고기가 집단폐사하거나 저서생물의 서식처를 파괴되어 수생태계가 교란됨
  • 아울러, 토지개발로 인해 불투수층이 증가하면 강우시 토양으로 흡수되거나 증발되지 않고 하천으로 배출되는 빗물의 양이 증가하여 홍수의 위험이 높아지고 지하수 함양이 줄어들어 평시에 하천의 건천화(乾川化)를 유발하는 요인이 됨

출처 : 환경부 비점오염 (http://nonpoint.me.go.kr/main.do)

비점오염저감시설 정보관리시스템